김재진 시의원, "상수도관 정비사업 선제적 누수 대응체계 구축 필요성" 지적
오정백 기자
korea25c@daum.net | 2025-04-29 09:12:15
- 선제적 누수 대응 체계 구축 강조
[한국행정신문 = 오정백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김재진 의원이 서울시 상수도관 정비사업의 실효성과 선제적 누수 대응체계의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했다.
김 의원은 서울시 상수도관이 2020년부터 2040년까지 약 3,074km가 정비될 예정이며, 특히 30년 이상 된 노후 관로 중 위험등급 이하로 판정된 구간만 정비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비 대상 선정 기준과 사후 관리 실태에 대한 명확한 데이터 축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현재 누수 대응체계가 주로 사후적 조치에 치중되어 있다"며, "누수 발생 이전에 이상 징후를 감지하고 예방할 수 있는 선제적 대응 체계의 구축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서울아리수본부장은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있으나, 직접 관측의 한계로 인해 정확도에 제약이 있다고 답변했다.
김 의원은 도로균열 탐지에 사용하는 지표투과레이더(GPR) 등 신기술의 도입 가능성을 질의하며, "상수도관 누수 예방에 효과적인 신기술 도입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아리수본부장은 GPR이 도로 하부 2~3m 범위 내 감지에는 유용하지만, 상수도관이 더 깊은 곳에 매설된 경우 한계가 있다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의원은 "서울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와 실질적 성과를 위해 상수도관 정비사업의 투명한 정보 제공과 선제적 누수 예방 기술 도입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향후 관련 사업의 지속적인 성과평가와 관리 강화"를 당부했다.
[ⓒ 한국행정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