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美 대화-압박 '투트랙' 기조 탈피 대북정책 공식 전환

이남우

news@segyenews.com | 2016-02-19 11:25:43

"사드는 안보와 국익의 필요성 우선 판단…사드배치 조건 없다"
"미·중 본격 협의 중…과거보다 강력한 안보리 결의안 채택될 듯"

[세계뉴스] 이남우 기자 = 한·미 양국은 대화와 압박이라는 기존의 '투트랙' 기조에서 벗어나 대북 압박에 중점을 두는 쪽으로 대북정책 기조를 사실상 전환했다고 정부 고위당국자가 18일(현지시간) 밝혔다.


정부 당국자는 또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문제의 한반도 배치에 대한 한·미간 협의는 안보와 국익의 필요성만을 기준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진행되는 미·중 간의 대북 제재 논의와는 별도로 진행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AN/TPY-2 레이더. 탐지거리 전진배치용 2000km, 종말단계요격용 1000km. © 세계뉴스

이날 워싱턴 특파원들과의 간담회에서 "지금까지의 대북 정책을 압박과 대화의 두 축으로 끌어왔다면 그런 기조를 그대로 두더라도 압박에 중점을 두고 가기로 했다"고 전해졌다.


이 당국자는 "북한의 생각과 셈법을 바꾸려면 국제사회의 압박을 통해 북한이 현재의 정책을 계속하는 한 얻을 것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각인시켜야 한다는 게 한·미 양국의 인식"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이 북한 비핵화와 평화협정 병행 추진을 제안한 데 대해 "지금은 안보리 제재 결의를 통해 북한의 태도 변화를 압박하는 노력에 힘을 기울일 때"라며 "대화를 이야기할 시점이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또한 안보리에서 논의에 대해서도 대북 제재 결의안은 "미국과 중국이 본격적인 검토 단계에 들어가 실효성 있는 강력한 제재조치를 도출해내기 위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과거보다는 강력한 결의안이 채택될 가능성이 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한·미 양국은 안보리 논의의 결과를 지켜본 뒤 그 다음 수순으로 양자 차원에서 취할 수 있는 제재조치들을 논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드 배치에 대한 한·미 간 협의가 공식 개시됐다는 입장을 확인한 뒤 "(사드 도입은) 안보와 국익의 필요성이 판단기준"이라며 "다른 문제와 연계되거나 조건이 걸려있지 않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이 한·미 간의 사드 배치 협의를 중국의 대북 제재 참여 문제와 연계할 가능성이 제기된 가운데 나온 것이다.


현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실효성 있는 대북 제재 결의안을 도출하기 위한 미·중 간 협의가 진행중이지만 이와 무관하게 사드 배치에 대한 한·미 간 협의가 진행될 것임을 강조한 것이다.


지난해 10월 한·미 정상회담의 후속조치로 첫 고위급 전략협의를 개최한 한·미 양국은 수개월 후에 2차 회의를 갖기로 합의했다.

[ⓒ 한국행정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