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공원에 세계서 두 번째 180m 대관람차 '서울링' 세운다…2027년 완공

이승재 기자

korea25c@daum.net | 2023-03-08 13:45:16

- 아인 두바이 257m 대관람차에 이어 '서울링' 180m 세계 2위
- 4천억 100% 민자수익형 사업으로 추진…年 350만명 관광수요
▲ 서울형 대관람차 '서울링'(Seoul Ring)이 마포구 상암동 소재 하늘공원에 조성된다.

[한국행정신문 이승재 기자] 세계 최대규모의 서울형 대관람차 '서울링'(Seoul Ring)이 마포구 상암동 소재 하늘공원에 조성된다.

서울링은 기존 대관람차와 달리 바큇살이 없는 고리 형태로, 크기가 180m에 달한다. 서울시는 동력으로 재활용 에너지를 사용해 서울링을 서울의 관문이자 친환경 정책을 상징하는 랜드마크로 거듭나게 할 계획이다.


8일 서울시는 영국 런던의 '런던아이'와 같은 큰 바위 모양의 대관람차인 '서울링' 추진 내용을 발표했다.
시는 지난해 10월부터 대관람차 입지 결정에 '한강에서 보여지는 모습과 대관람차에서 바라보는 경관이 서울의 대표적 경관이 돼야 한다'는 주요원칙을 세우고 상암동 하늘공원을 포함, 노들섬, 여의도공원, 수도자재센터, 잠실 등 다양한 후보지를 검토해왔다.


하늘공원은 한강, 서울도심, 남산, 북한산 자연경관 조망이 가능하고, 쓰레기 매립지라는 과거와 서울이 지향하는 인류와 지구, 미래, 환경(탄소제로, 기후변화 등)에 대한 정책적 의지를 실현할 수 있는 최적지로 평가됐다.


시는 고리형태 디자인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디자인 검토과정에서 국내외 대관람차 설계업체, 대형 건설사의 자문을 얻어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했다.


서울링 사업은 100% 민자수익형 사업으로 추진한다. 시는 민간에서 더 진보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을 제안받아 보완·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탑승 인원은 시간당 1474명, 1일 최대 1만1792명 탑승이 가능하며 연간 약 350만명 이상의 관광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관람차 하부 공간에는 1978년부터 서울 전역에서 반입된 쓰레기 매립지라는 난지도의 역사와 의미를 알 수 있도록 매립지 퇴적층을 확인할 수 있는 체험 전시관을 엘리베이터 형태로 조성하고, 인근 월드컵공원과 연계되는 지하연결 통로를 만들어 접근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시는 대중교통인프라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친환경 자율주행버스 등 교통수단의 단계적 확대를 추진하고 곤돌라 및 경사형 엘리베이터 설치도 검토 중이다.

▲ 서울형 대관람차 '서울링'(Seoul Ring)이 마포구 상암동 소재 하늘공원에 조성된다.

서울시는 대관람차가 조성되는 하늘공원과 상암동 일대를 마포석유비축기지, 자원회수시설 등 공공시설과 연계해 지속가능한 전략을 마련하고 민자사업이 안정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향후 민간사업제안서 제출시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에 따른 행정절차대로 추진, 2025년에 착공해 2027년 12월 완공 목표다. 사업비 규모는 약 4000억 원이다.


시 관계자는 "코로나 전 2019년 우리나라 관광객이 1400만명이었다. 영국, 싱가포르 관광객의 15~20%가 대관람차를 이용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수익성은 충분하다"고 말했다.

한편 대관람차는 아랍이미리트의 아인 두바이(폭257m)에 이어 180m '서울링'은 세계 2번째이지만, 기존 대관람차와 달리 바큇살이 없는 고리 형태로는 '서울링'이 세계 최초이다.

[ⓒ 한국행정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