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버버스' 한강 사업 몸통은 SH공사...민간 선박 이용 서울시 해명 거짓 논란

이승재 기자

korea25c@daum.net | 2023-11-06 14:15:00

- SH공사, 리버버스 12대 건조해 이크루즈에 임대...공사 지분 85% 자회사 설립 예정
- 박승진 서울시의원 “이크루즈는 15% 지분으로 리버버스 수혜, 사업자 선정 과정??”
▲ 리버버스 운행 사례. (서울시 제공)

[한국행정신문 이승재 기자] 서울시가 김포골드라인 혼잡완화 긴급대책회의의 후속조치로 서울과 김포  물길을 잇는 '리버버스' 한강 사업이 사업 주체를 놓고 도마에 올랐다. 

708억 원이 리버버스에 서울시 예산이 투입된다는 박승진 의원의 지적에 대해 민간 선박 이용에 따른 비용 지원의 개념이라는 서울시 해명조차 거짓인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 3일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를 상대로 한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SH공사는 480억 원(40억x12대)에 가까운 비용을 투입하여 리버버스 12대를 건조하고, 6대는 ㈜이크루즈에 임대, 나머지 4대만을 SH공사에서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결국 리버버스 사업은 서울시에서 208억 원을 들여 선착장을 만들어 주고, SH공사에서는 리버버스 건조 비용 480억 원을 부담하는 완전한 서울시 예산 사업이 되었다.


박 의원은 SH공사에서 지분 85%를 투자하는 자회사를 설립할 계획인데, 나머지 15%는 ㈜이크루즈가 참여한다. ㈜이크루즈가 리버버스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는데, 그렇다면 정작 SH공사가 몸통이라는 주장이다.


박 의원은 “민간 선박을 이용한다던 서울시 해명과는 전혀 다르게, SH공사의 선박을 이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며 “SH공사 지분 85%가 투자된 자회사를 서울시는 민간이라고 보는 것인지 되묻고 싶다. SH공사는 서울시 공기업이다”라며 지적했다.


SH공사는 서울시의 비용 보전을 믿고 리버버스에 뛰어들었다는 입장이다. 700억 원에 가까운 서울시 예산이 투입되지만, 리버버스 사업의 수혜는 15%의 지분만을 투자하는 ㈜이크루즈가 독점하는 구조다.


박승진 의원은 “SH공사에서도 공기업의 입장에서 서울시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에 참여하는 것이니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며 “서울시는 거짓 해명에 대해 다시 해명하고, 예산 낭비가 불보듯 뻔한 리버버스 사업을 전면 재검토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한국행정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