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4년간 폐기된 혈액 269억…"혈액관리체계, 전반적으로 점검해야"
이승재 기자
korea25c@daum.net | 2021-09-06 15:44:20
- 채혈 중 혈액백, 성분채혈키트 문제로 혈액이 오염되어 사용할 수 없는 경우
- 혈액 성분 제조시 혈액백 파손, 용혈・혼탁 및 오염 등 발생한 경우
[한국행정신문 이승재 기자] 269억 원어치의 혈액이 최근 4년간 폐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강병원 의원(서울 은평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혈액백 불량은 △2017년 1,152개(142개 교환, 1,010개 변상), △2018년 863개(286개 교환, 577개 변상), △2019년 1,203개(260개 교환, 943개 변상), △2020년 2,130개(1,145개 교환, 985개 변상), △2021년 7월까지 1,573개(1,076개 교환, 497개 변상)에 이른다. 변상수량은 혈액백, 성분채혈키트 불량으로 정상출고가 불가능하거나 정량채혈이 안 된 건수를 말한다.
▲ 혈액백 불량발생 현황. 각 연도말 BIMS data 조회 취합 자료 (BIMS 실시간 자료로 일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
또 혈장 성분채혈키트 불량은 △2017년 784개, △2018년 1,058개, △2019년 954개, △2020년 1,126개, △2021년 604개(7월 기준)이며, 혈소판 성분채혈키트 불량은 △2017년 1,636개, △2018년 1,731개, △2019년 2,041개, △2020년 1,830개, △2021년 1,042개(7월 기준)에 달한다.
불량이 나는 이유는 채혈 과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아 혈액을 사용할 수 없거나 정량채혈을 하지 못한 경우로, 채혈 중 혈액백, 성분채혈키트의 문제로 혈액이 오염되어 사용할 수 없는 경우, 혈액 성분 제조시 혈액백 파손, 용혈・혼탁 및 오염 등이 발생한 경우다.
문제는 부적격 판정으로 폐기되는 혈액 손실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매년 응고, 오염, 혈액선 검사 결과 이상 등으로 부적격 판정을 받아 폐기되는 혈액이 △2017년 3만6,627unit, △2018년 3만6,477unit, △2019년 3만8,985unit로 매년 증가하다 △2020년 3만4,295unit로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 중이다. 혈액 보관과정에서의 폐기량도 마찬가지다. 2017년 1,335unit, 2018년 1,189unit, 2019년 1,283unit, 2020년 1,002unit로 매년 비슷한 수준의 폐기량을 보이고 있다.
▲ 부적격 혈액제제 현황. (단위 : UNIT) |
헌혈 수급 문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특히,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그 어느 때보다 혈액 수급이 어려운 실정이다. 국민의 소중한 혈액이 적재적소에 사용되지 못한 채 버려지는 양만 최근 4년간(2017~2020) 52만1,510unit이다. 이는 이상 없는 혈액으로 의료기관에 출고된다고 가정할 때 농축적혈구 기준, 269억 원 가량(의료기관공급가 320ml기준)이다.
강병원 의원은 “코로나19로 인한 거리두기와 비대면 확산으로 혈액 수급이 심각한 수준”이라며“어려운 상황에서도 헌혈에 참여해 준 국민의 선의가 헛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헌혈기획단계부터 공급단계까지 혈액관리체계를 전반적으로 재점검해야 한다.”라고 대책 마련을 강조했다.
[ⓒ 한국행정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