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남·북·러 3각 협력 … 평화구축 대러외교 시동

온라인뉴스부

news@segyenews.com | 2018-06-21 22:10:20

유라시아 공동번영·동북아 다자평화안보협력체제 … 구도 제시
한·러 3대 경제협력방안 … "시베리아 횡단열차 부산까지" 희망

[세계뉴스] 온라인뉴스부 = 러시아를 국빈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러시아 하원 연설에서 한반도 평화체제 수립 이후 남·북·러 3각 협력에 및 동북아 다자평화안보협력체제의 구상을 밝혔다.


남북 및 북미정상회담으로 조성된 한반도 해빙 기류가 동북아의 냉전구도 종식과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한국과 북한 뿐 아니라 러시아 등 주변국들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는 데 기인했다.
문 대통령은 한러간 경제협력 3대 방안을 제시하고 양국의 동반자적 관계를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지금 한반도에 역사적인 대전환이 일어나고 있다. 북미정상회담에서도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북미 간 적대관계 종식을 선언했다”며 “남북미는 전쟁과 적대의 어두운 시간을 뒤로하고 평화와 협력의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 놀라운 변화에 러시아 정부와 국민의 적극적 지지와 협조가 큰 힘이 됐다”고 말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한반도 비핵화가 동북아 평화와 직결된다는 점을 강조, 평화체제 구축에 러시아도 함께 나서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남북 간 공고한 평화체제는 동북아 다자 평화안보협력체제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내일은 전 러시아의 대조국전쟁이 시작된 날로, 인류에게 평화가 얼마나 소중한지 다시 깊이 새기는 날이다. 나 자신도 피난민의 아들로 태어나 전쟁의 고통과 평화의 소중함을 절감해왔다”며 “항구적 평화와 공동번영에 이 자리에 계신 의원들께서도 함께 해주시리라 믿는다”라고 호소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체제가 구축되면 남북 경협이 본격화될 것이며, 러시아와 3각 협력으로 확대될 것”이라며 “철도·에너지·전력에서 협력이 이뤄지면 동북아 경제공동체의 튼튼한 토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모스크바에서 연해주 항구도시 블라디보스토크까지 달리는 시베리아 횡단 열차는 단순한 열차가 아닌, 러시아 노동자들의 황금 손에 의해 건설된 생명의 길이자 세계 인식의 지평을 넓힌 문명의 길, 평화의 길”이라며 “유라시아 시대를 여는 관문이자 유라시아 공동체 건설의 상징, 토대”라고 평가했다.


이어 “이제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통해 이 철도가 내가 자란 한반도 남쪽 끝 부산까지 다다르길 기대한다”며 “한국과 북한이 유라시아의 공동번영을 이뤄내는 데 함께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유라시아에 인류의 새로운 희망이 있다”며 “전쟁의 시대를 넘어 평화와 번영의 시대를 향해 러시아와 한국이 함께 걸어갈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러면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신동방정책은 장점과 동양 문명의 장점을 유라시아라는 거대한 용광로에 담아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웅대한 설계”라며 “내가 지난해 발표한 신북방정책은 신동방정책에 호응하는 한국 국민의 꿈”이라며 “극동지역에서 양국이 꾸는 꿈이 다르지 않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9월 러시아 동방경제포럼에서 양국이 가스, 철도, 항만, 전력, 북극 항로, 조선, 일자리, 농업, 수산분야 등 ‘9개의 다리’를 놓아 경제협력을 증진한다는 소위 ‘나인브릿지’ 구상이다.


문 대통령은 “첫째는 미래 성장동력 확충이다. 한국은 국내에 한·러 혁신센터를 설립하고 모스크바에 있는 한·러 과학기술협력센터를 확대해 4차 산업혁명을 함께 선도할 것”이라며 “둘째로 9개 분야 협력을 더 강화하고 민간 참여도 확대하는 등 극동개발 협력을 활성화해야 한다”면서 “셋째로는 국민복지 증진과 교류기반을 강화하는 것”이라며 의료기술 협력 등 확대를 강조했다.


또한 문 대통령은 “양국의 이런 긴밀한 협력으로 양국 국민이 더 행복해지기를 바란다”며 “양국 관계의 소중함을 국민이 피부로 느끼길 바란다”고 거듭 강조했다.

[ⓒ 한국행정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