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형물' 세웠다 치웠다 혈세낭비 하는 서울시

차성민

korea25c@daum.net | 2020-10-13 16:20:40

- 첨성대 조형물 6500여만원 예산 들여 설치, 주변 경관 해친다는 여론에 밀려 4개월여만 철거
▲ 서울 중구 서울시청 맞은편에 세워진 첨성대를 철거하고 있는 모습.


[한국행정신문 차성민 기자] 서울시가 13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맞은편 서울 도시건축전시관 옥상에 세웠던 첨성대 조형물을 철거했다. 이 조형물은 6500여만 원의 예산을 들여 설치되었지만, 주변 경관을 해친다는 여론에 밀려 설치한 지 4개월여 만이다.

 
조형물은 설치미술가 한원석씨 작품 ‘환생(Rebirth)’으로 첨성대를 본 떠 만들었다. 높이 9.5m, 최대 너비 5.2m다. 시멘트로 모양을 낸 작품의 무게는 22톤에 달한다. 지난 2006년 제작해 서울 청계천과 을지로, 전남 순천 순천만국가정원 등에서 전시하다가 지난 5월 이곳으로 자리를 옮겼다.


서울시는 “조형물은 폐자동차에서 뗀 헤드라이트 1347개를 이어 붙여 만들었다. 조형물에서 내뿜는 빛이 코로나19 사태로 몸과 마음이 지친 시민들을 위로해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조형물을 본 시민들의 반응은 서울시 바람과는 정반대로 냉담했다. 서울 한복판에 있는 건물 1층짜리 옥상에 세워진 조형물이 주변 경관을 해친다는 것.


시민들은 서울 한복판에 왠 첨성대냐는 반응과 함께 덕수궁 돌담길, 성공회성당 등 정동 주변 경관을 망쳤다고 이구동성으로 한마디씩 내뱉는다.

▲ 서울 중구 서울시청 맞은편에 세워진 첨성대를 철거해 놓은 모습.


특히 서울시의회 본관이 옆에 자리하고 있는데 이곳을 드나드는 서울시의원들 조차 경주에 있는 첨성대가 세워졌는지 갸우뚱한다.


서울 한복판에 들어선 대형 조형물이 뜬금없다는 반응이다. 여기에 혈세 낭비라는 비판 여론이 일자 서울시는 이 조형물을 13일 철거를 시작해 19일 완전하게 철수했다. 설치 4개월 만이다.


서울 도시건축전시관은 지상 1층부터 지하 3층 구조다. 그 위에 경주 첨성대를 모티브로 한 조형물을 세웠다.

[ⓒ 한국행정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