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왼쪽 두번째)이 6일 중국 베이징에서 개막한 제8차 미중 전략경제대화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오른쪽)과 대화하고 있다. <왼쪽부터 제이컵 루 미 재무장관, 케리 장관, 시진핑 주석>. © 세계뉴스 |
[세계뉴스] 안종묵 기자 = 미국과 중국이 유엔 대북제재 결의안 전면적 이행 및 북한의 핵보유국 주장 불용 등의 원론적 대북 정책을 재확인했다.
존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은 7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미중 전략경제대화 폐막 기자회견을 갖고 “미국과 중국은 북한의 핵보유국 주장을 수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동의했다”면서 "미중은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안을 전면적으로 이행한다는 점에서도 의견을 같이 했다"고 말했다.
이어 케리 장관은 "중국이 전적이고 효과적인 제재 이행에 동의한 것은 한반도 안정이라는 공동의 목표와 북한의 평화로운 비핵화 선택이라는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미중의 합치된 노력이라는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양제츠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은 공동 기자회견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의 평화 안정,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 등 중국의 한반도 정책 3원칙을 거론하면서 “기존 입장에 아무런 변화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미중 간 대북정책 합의는 원론적 차원인 것으로 전해졌다.
미중 양강은 통상 분쟁에서도 일부 접점을 찾은 것으로 전해졌다. 제이컵 루 미 재무장관은 이틀 일정을 마치면서 “중국이 철강의 과잉생산을 줄이고 위안화의 경쟁적인 평가절하를 하지 않으며 이익을 내지 못하는 '좀비 기업'들을 없애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한국행정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