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술심사담당관 신기술·특허 현장 점검 대상 늘려 보완결과 철저히 확인할 것
![]() |
▲ 7일 남창진 서울시의원이 제315회 정례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기술심사당담관에게 질의하고 있다. |
[한국행정신문 오정백 기자]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남창진 의원(국민의힘, 송파2)은 7일 제315회 정례회 2022년 서울기술연구원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연구원과 기관 통폐합이 논의되고 있는 서울기술연구원의 운영 방향에 대해 지적했다.
남 의원은 서울연구원은 “인문사회 분야를 주 연구분야로 나눠 4차 산업혁명 분야를 주 연구분야로 한다”고 구분하고 있다. 여기에 서울연구원의 3년간 연구보고서 현황을 보면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빅테이터 등 서울기술연구원의 고유영역 과제가 다수 있다”며 “두 기관의 연구영역 중복성”을 지적했다.
이와 관련, 남 의원은 서울기술연구원이 최근 수행한 12건의 수해방지 연구가 현실적으로 도움이 됐는지? 서울시 정책에 반영이 됐는지를 질의에 서울기술연구원장은 “그동안 수행한 연구가 수해방지와 연관성이 낮고 서울시가 정책반영에 관심이 적었기 때문에 수해방지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지는 못했다”고 답변했다.
남 의원은 “서울기술연구원이 서울연구원과의 차별화를 위해서는 연구영역이 일부 중복되더라도 연구성과로 두각을 나타내야 하고 서울시 발전과 안전을 위해 필요한 연구를 선제적으로 발굴해서 수행해야 한다”는 제안에 서울기술연구원장은 “향후 연구원 운영에 지적사항을 최우선 원칙으로 하겠다”고 답변했다.
또한 기술심사담당관 감사에서는 “서울시 신기술·특허 적용 공사현장이 304개로 다수 있지만 2022년 점검계획이 15개소로 대상이 턱 없이 적고 실제 점검은 8개소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점검 사항에 대한 보완결과를 서류로만 확인하고 있는데 차후로는 직접 현장을 확인하거나 사진 자료로 확인하여 관리를 철저히 하라”고 개선 방향을 제시했다.
이에 기술심사담당관은 “점검 대상 현장 수를 늘리고 점검을 철저히 하겠다”고 답변했다.
[저작권자ⓒ 한국행정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