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문 대통령 F-15K 전투기 폭격 훈련 지시 © 세계뉴스 |
[세계뉴스] 탁병훈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29일 북한의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사실을 보고 받고 대응 조치로 F-15K 전투기를 동원한 폭격 훈련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공군은 이날 오전 9시20분쯤 F-15K 4대를 띄워 MK84 폭탄 8발을 강원도 태백 필승사격장에 투하했다고 청와대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해 “우리도 대응 무력 시위를 하라”고 지시한 것 이외에 특별한 언급은 하지 않았다고 윤 수석은 전했다.
앞서 청와대는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를 개최하고 “국제사회의 엄중한 경고에도 북한이 또 다시 탄도미사일을 발사해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한데 대해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NSC 상임위는 “북한 도발이 대단히 엄중하다고 평가하고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에 철저히 대비해 강화된 경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했다.
정 실장은 NSC 상임위 후 허버트 맥매스터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전화 통화를 갖고 한·미 양국의 공동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맥매스트 보좌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문 대통령의 대북 정책과 한국 정부의 북한 도발에 대한 대응 조치를 전폭 지지한다고 말했다고 윤 수석은 전했다.
맥매스터는 “한국에 대한 미국의 방위 공조는 흔들림 없다. 안심하라”고 말했다고도 한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도 이날 NSC 후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과 통화를 했다. 틸러슨 장관은 이 통화에서 “대화 제의를 했음에도 북한이 미사일 도발을 감행한 사실은 매우 실망스럽다”고 말했다고 윤 수석은 전했다.
윤 수석은 “한·미 양국 외교장관은 보다 강력한 대북 제재 방안을 논의하기로 하고 이번 미사일 도발을 유엔 안보리에 회부해 논의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군은 지난 24일 비공개로 실시한 현무 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장면을 담은 동영상을 공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한국행정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