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울시의회. |
[한국행정신문 김형수 기자]서울시의회가 정책지원관 채용에 나선 가운데 채용 시점과 관련한 비판이 나오고 있다. 제10대 서울시의회 임기가 6월 말 종료되는 상황에서 정책지원관 채용을 진행하는 것이 '자기사람 심기'라는 지적이다.
앞서 서울시의회는 지난 11일 ‘서울특별시의회 일반임기제공무원 채용시험계획 공고’를 내고 일정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에 채용되는 정책지원관은 27명이다. 6급 상당의 지방행정 공무원으로 임기는 2년이다. 시의회는 정책지원관 서류 접수 후 6월 13일 서류전형 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으로 6월 23~24일 면접시험을 본 뒤 합격자를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정책지원관은 의원들의 여러 현안에 대해 ‘보좌관’ 역할을 수행하며 정책을 지원하는 인력이다. 지난 1월 23일 지방자치법이 개정됨에 따라 서울시의회는 의원 110명으로 2분의1에 55명까지 둘 수 있다. 22년도는 4분의1을 채용하는 27명이다. 내년에는 선거구 수가 1석이 늘어나 28명을 채용할 수 있다.
시의회의 정책지원관 채용과 관련, 시의회 임기가 6월 말 종료되는데 굳이 채용하고 나가겠다는 건 ‘특정 내정자’를 염두해 둬 서두르는 거 아니냐는 말이 나오고 있다.
그동안 서울시의회를 독점한 ‘더불어민주당’이 민주당 출신 진영의 인사를 채용하려 한다는 게 의구심의 반대 목소리이다.
국민의힘 이성배 의원은 “정책지원관 채용의 문제는 선거가 13일 남겨둔 시점이고 10대 시의회가 다 끝나 임기막바지에 이를 추진하고 나갈 이유가 없다”며 “선거 이후 11대 원구성이 되면 그때 정책지원관 인력을 새 의장단이 절차를 밟아 채용하는 것이 옳은 순리다”고 주장했다.
사무처 관계자는 “새로이 출범하는 11대 의회 개원준비의 일환으로 실무인력인 정책지원관 채용절차를 최대한 단축하되, 역량있는 인재를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채용할 수 있도록 절차와 과정을 꼼꼼하게 점검하고 있다”며 “정책지원관 채용은 정치환경과 무관한 실무공무원을 채용하는 것이라며 정부도 과장급이하의 공무원 인사는 정권변동과 관계없이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한국행정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