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생존지원금 8,000억 수용
[한국행정신문 오기택 기자] 서울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위원장 김호평)는 서울시와 서울시교육청이 제출한 ‘2022년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을 12월 31일 수정의결 했다.
예결위는 전년 대비 늘어난 6조 원(전년 대비 감액·삭감 예산 2조 포함)의 예산이 민생회복과 위기극복, 사회안전망 확충을 위해 우선 배정될 수 있도록 3조 원 규모의 생존지원금, 심각하게 훼손되었던 시민협치와 자치예산, 정치적 의도로 삭감된 TBS 출연금의 회복을 서울시에 제안했다.
그러나 생존지원금의 경우 예결위의 총력에도 불구하고 이에 부정적인 오세훈 시장의 외면으로 약 8천억 원 규모로 축소 편성됐다.
8천억 원의 생존지원금을 통하여 55만 소상공인에게 80만 원의 월세지원금이 지급될 예정이다. 이 외에 ‘관광업 위기극복자금 지원(165억원)’, ‘특고·프리랜서 긴급생계비 지원(1,280억원)’, ‘시 직영 검사소의 자치구 확대(100억원), ’중증환자 등 병상 추가확보 및 운영(80억원)‘ 등이 포함되었다.
![]() |
▲ 서울특별시의회 전경. |
지난 ’21년도 제1회 추경을 통해 편성요청 되었던 서울형 교육플랫폼 구축사업의 22년도 예산 35억 원은 전액 삭감했다. 해당 사업은 상임위원회 예비심사 결과 사업의 효과성에 대해 증명되지 않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만, 동 사업과 연계되는 서울형 멘토링 사업 추진은 상임위의 예비심사에서는 55억 원 전액이 삭감되었으나 예결위 심사과정에서 사업 간의 연계를 고려하여 전액 복원했다.
관치행정 회귀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시민협치·자치 예산도 전년대비 80% 수준으로 회복했다. TBS 출연금도 삭감 제출된 125억 원 중 67억을 다시 증액하여 320억 원을 편성함으로써 행정의 신뢰를 제고하고, 단체장의 정치적 의도에 의해 예산이 좌지우지되는 폐해에 제동을 걸었다. 최종 수정의결 된 서울시 예산은 당초 서울시 제출안보다 약 1,500억 정도 늘어난 44조 2,200억 규모이다.
또한 예결위는 금년도부터 중·고등학교 신입생에게 지원하고 있는 입학준비금을 내년도 3월에 입학하는 초등학생 6만 9,800명(1인당 20만 원)에게 확대지원하기 위해 총 사업비 140억 원 중 교육청 분담분 56억 원(교육청, 서울시, 자치구 각각 4:3:3)을 증액하여 교육복지체계를 한층 강화했다.
서울시 교육청 예산은 노후화된 교실, 운동장 등 학교시설환경개선 예산 1,237억 원 증액, 노후 조리기구 교체 등 학교급식환경개선 예산 18억 원을 증액을 포함하여 10조 5,886억 원으로 확정했다.
상임위 예비심사 결과 삭감되었던 스마트 밴드, 안심소득 등 오세훈 시장 공약사업 중 일부는 복원시켰다. 신속통합기획 관련된 예산은 시의 제출안보다 오히려 증액했다.
[저작권자ⓒ 한국행정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