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상안 합의 마무리 단계 계속 논의 중…문제 해결에 최선"
"이번 남북대화 물꼬 잘 풀리면 상생과 한반도 평화에 단초"
![]() |
▲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하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 © 세계뉴스 |
[서울=세계뉴스] 전승원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은 24일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남북이 판문점에서 진행 중인 고위급 접촉과 관련, "이번 회담의 성격은 무엇보다 현 사태를 야기한 북한의 지뢰도발을 비롯한 도발행위에 대한 사과와 재발방지가 가장 중요한 사안"이라며 "매번 반복돼온 도발과 불안 상황을 되풀이하지 않으려면 (북한의) 확실한 사과와 재발방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북한의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 그것은 국가 안보와 국민의 안위가 걸린 문제이기 때문에 과거와 같이 북한이 도발 상황을 극대화하고 안보에 위협을 가해도 결코 물러설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또한 박 대통령은 북한의 사과를 재차 강조한 뒤 "그렇지 않으면 정부는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고 확성기 방송도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엄중하면서도 단호한 대응 태도를 재차 확인했다.
박 대통령의 이러한 언급은 북한이 비무장지대(DMZ) 목함지뢰 도발과 서부전선 포격도발을 시인하지 않는 것에 대해 강력한 경고를 보내면서 북한의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 등을 관철해 내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여기에는 북한이 도발로 위기를 조성한 뒤 일시적으로 '대화모드'가 조성되면 북한의 사과 없이 적당한 선에서 타협하고, 다시 북한이 도발을 감행해온 과거의 악순환을 끊겠다는 박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 |
▲ 24일 박근혜 대통령은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했다. 박 대통령은 "매번 반복돼온 도발과 불안 상황을 되풀이하지 않으려면 (북한의) 확실한 사과와 재발방지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 세계뉴스 |
이와 함께 박 대통령은 "지난주말 판문점에서 개최된 남북 고위급 당국자 접촉에서 연이틀 밤을 새워 논의했고 현재 합의 마무리를 위해 계속 논의 중에 있다"고 말해 합의 도출 가능성이 주목된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정부는 문제 해결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결과가 나오는 대로 국민 여러분께 확실한 소식을 전해드리겠다"고 말했다.
이어 박 대통령은 "저는 우리 군을 믿고 우리 장병들의 충성심을 신뢰한다. 어제 '지금의 위기 상황이 끝날 때까지 전우들과 함께 하겠다'며 전역을 연기한 두 병사 소식을 들었다"며 "저는 그런 애국심이 나라를 지킬 수 있고 젊은이들에게도 큰 귀감이 되리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앞으로 정치권을 비롯해 우리 모두가 한마음으로 단결하고 군과 장병들이 사기를 얻을 수 있도록 협조해야 한다"며 "그들의 사기를 꺾고 군의 위상을 떨어트리는 것은 결국 국민의 안위와 국가안보를 위태롭게 하는 것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정부는 북한의 그 어떤 도발도 강력히 응징할 것"이라며 "하지만 이번에 대화가 잘 풀린다면 서로 상생하면서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국민 여러분께서도 정부와 군을 믿고 지금처럼 차분하고 성숙하게 대응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또 "아무리 위중한 안보상황이라도 정부와 군, 국민이 혼연일체가 되면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다"며 "지금의 안보 위기도 국민 모두의 힘과 의지를 하나로 모은다면 얼마든지 이겨낼 수 있으며 위기를 오히려 기회로 만들어갈 수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저와 정부는 국민 여러분의 애국심을 믿고 북한의 도발에 강력하게 대응하면서 한반도 평화를 만들어갈 것"이라며 "군은 확고한 안보태세를 유지하면서 우리 국민의 안전에 만전을 기하고 각 부처와 관련 수석실은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한국행정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