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호히 대응하되 '베를린 구상' 동력 상실 안되게 관리"
![]() |
▲ 문재인 대통령이 29일 오전 1시 북한이 28일 밤 자강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를 기습 발사한 것과 관련해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 소집했다. © 세계뉴스 |
[세계뉴스] 탁병훈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29일 북한의 ICBM(대륙간탄도미사일)급 미사일 발사와 관련, 단호한 대응을 요구하면서 "단호한 대응이 말에 그치지 않고 북한 정권도 실감할 수 있도록 강력하고 실질적인 조치를 다각적으로 검토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1시 북한의 전날 밤 ICBM급 미사일 도발에 따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주재한 뒤 마무리발언을 통해 "금번 미사일 발사는 동북아 안보 구도에 근본적 변화가 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여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단호하게 대응하면서 베를린 구상의 동력이 상실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지혜가 필요하다"며 이렇게 밝혔다고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문 대통령은 "외교안보 부처는 미국 등 우방국들과 공조해 금일 도발에 대한 안보리 차원의 조치를 국제사회의 단호한 대응이 있도록 해주길 바란다. 필요시 우리가 독자적 대북 제재를 부과하는 방안도 검토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을 억제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우리 군의 독자적 전력을 조기에 확보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기 바란다"면서 "아울러 잔여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발사기 조기배치를 포함해 한미연합 방위능력 강화 및 신뢰성 있는 확장 억제력을 확보하는 방안을 미측과 즉각 협의하기 바란다"고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무엇보다 궁극적으로 긴밀한 한미 공조를 바탕으로 북한의 도발을 억지하면서 핵·미사일 프로그램 동결시키고 최종적으로 완전한 북핵 폐기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런 엄중한 안보위기 상황에선 국민들의 단결이 가장 중요하다"며 "안보에는 여야가 따로 없다. 여야 모두 협조해 국민들의 불안이 없고, 경제적 파급이 없도록 적극 노력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한국행정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