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문재인 대통령은 29일 새벽 1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긴급소집했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사드 잔여 발사대 추가 배치를 포함해 한·미간 전략적 억제력 강화 방안을 즉시 협의할 것을 지시했다. © 세계뉴스 |
[세계뉴스] 탁병훈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29일 오전1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긴급소집했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사드 잔여 발사대 추가 배치를 포함해 한·미간 전략적 억제력 강화 방안을 즉시 협의할 것을 지시했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문 대통령이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직접 주재하면서 사드 잔여 발사대 추가 배치를 포함해 한·미간 전략적 억제력 강화 방안을 즉시 협의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는 경북 성주에 배치된 사드 발사대 2기와 별도로 미군기지에 보관돼 있는 발사대 4기의 조기배치를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바로 전날 사드 부지에 대해 일반 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하기로 발표하며 사실상 배치 시기를 뒤로 미뤘던 것과는 정반대로 돌아섰다.
이에 따라 사실상 '사드 연내 배치'가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진다.
문 대통령은 당초 시간을 두고 북한의 태도 변화를 위한 중국의 역할을 이끌어내는 한편, 북한과의 대화로 핵 문제를 풀어보려 했었다. 그러나 돌연 북한이 군사회담과 이산가족 상봉 등 회담제의를 뿌리치고 기습적으로 ICBM(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발사함에 따라 사드배치 등 한미간 전략자산 운영의 강경모드로 돌아 설수 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또한 이를 계기로 한미간 미사일 지침도 빠른시일내에 개최해 실질적인 군방위태세를 확립한다는 계획이다.
![]() |
▲ 경북 성주군 주한미군 기지에 배치되어 있는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 세계뉴스 |
문 대통령은 사드 추가 배치 지시 외에도 ▲한미연합 탄도미사일 발사 등 보다 강력한 무력시위를 전개할 것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소집을 긴급 요청해 강력한 대북 제재안 마련을 추진할 것 ▲북한의 추가 도발에 대한 대북 경계태세를 강화할 것을 참모들에게 주문했다.
이번 강경책들은 북한의 잇따른 도발을 더이상 좌시할 수 없다는 문 대통령의 강력한 의사가 반영된 것이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4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도발 당시 "북한이 레드라인을 넘어선다면 한미 양국이 어떻게 대응할지 알 수 없다"며 "북한이 돌아올 수 없는 다리를 건너지 않길 바란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우리 군은 북한이 28일 오후 11시 41분쯤 자강도 무평리 일대에서 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합동참모본부는 "고도는 약 3700km, 비행거리는 1000여km로서 사거리 기준 시 지난번 보다 더 진전된 ICBM급으로 추정되며 추가 정보에 대해서는 한미가 정밀분석 중"이라고 밝혔다.
북한이 지난 4일 미국의 독립기념일을 겨냥해 발사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4형'의 고도(2800Km)를 넘어선 것이다.
[저작권자ⓒ 한국행정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