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전 확대 정책에 맞춰 기존 표어 제거 및 새로운 정책 메시지 전달 필요

[한국행정신문 = 박은상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도시계획균형위원회 허 훈 의원은 전임 시장 시절 추진된 '원전 줄이기' 정책의 슬로건이 여전히 시내버스 외부에 부착된 채 운행되고 있는 문제를 지적하며, 정책 변화에 따른 현장 정비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문제가 된 문구는 "원전 함께 줄이는 최고의 재활용도시 서울"로, 이는 전임 시장 재임 당시 추진된 '원전 하나 줄이기' 정책의 일환으로 시민들에게 신재생에너지 활용을 장려하기 위해 시내버스에 스티커 형태로 부착된 것이다.
2022년 이후 서울시와 정부의 에너지 정책이 탈원전에서 원전 확대 기조로 전환됐고, 오세훈 시장은 해당 문구의 제거를 지시했으나, 여전히 124대의 버스가 해당 문구를 부착한 채 운행 중이다.
지난 3월 실시된 서울시 전수조사 결과, 서울시 내 64개 운수회사의 버스 7,017대 중 10개 운수회사의 124대 CNG 버스가 문제의 문구를 부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책 변화에 따른 현장 정비가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4∼2038년을 적용하는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2038년 원전 비중을 35.2%까지 높이는 계획을 확정했다. 이는 AI와 반도체 등 첨단산업의 전력 수요 증가를 반영한 결과다.
허 훈 의원은 "시내버스 외부에 부착되는 문구는 단순 홍보를 넘어 서울시가 시민에게 전달하는 정책 메시지"라며, "확인만 하면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스티커를 3년 가까이 방치한 것은 담당 부서의 관리 소홀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서울시는 2025년 하반기 기후동행카드 활성화에 맞춰 통합교통 브랜드 개발 및 홍보물 부착을 계획 중인 만큼, 기존 스티커를 일괄 정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한국행정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