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뉴스] 김병철 기자 = 중국 국유기업인 칭화유니그룹이 난징에 300억달러(약35조원)를 들여 메모리 반도체 공장을 짓는다.
한국과 미국이 정상을 지켜 온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까지 중국이 넘보는 형국이 됐다. 미국은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어 반도체를 둘러싼 중국 간 통상분쟁 가능성이 제기된다.
▲ 자료: SMIC(중국 반도체 기업) © 세계뉴스 |
20일 WSJ에 따르면 칭화유니그룹은 난징에서 스마트폰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쓰이는 3차원(3D) 낸드와 D램 플래시칩 공장을 올해 착공해 매월 10만장 이상의 웨이퍼 생산능력을 갖추기로 했다.
또한 지난해 3월 우한에 240억달러를 투자해 메모리 반도체 공장 건설을 발표했다.
칭화유니그룹은 2015년 미국 반도체업체 마이크론을 인수하려 했지만 미국 정부의 반대로 무산됐다.
WSJ는 “칭화유니그룹이 글로벌 기업 인수합병(M&A) 전략이 무산되자 자체 공장을 건설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고 분석했다.
이날 중국국가통계국은 중국의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6.7%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2015년 성장률(6.9%)과 비교하면 0.2%포인트 낮지만 중국 정부 목표치(6.5~7.0%)는 달성했다. 지난해 4분기 경제성장률은 6.8%(전년 동기 대비)로 시장 예상치인 6.7%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최첨단 공정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중국과 반도체산업 우위를 유지하려는 미국 간 반도체 전쟁이 보호무역정책과 맞물리면서 예측불허의 국면으로 전개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한국행정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