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부채비율과 예산 부족으로 작업환경 개선 어려움

[한국행정신문 = 박은상 기자] 서울지하철 노동자들의 혈액암 집단 발병 문제에 대한 연구용역 결과가 내년도 예산에 전혀 반영되지 않아 심각한 실태가 드러났다.
서울시의회 교통위원회에서 곽향기 서울시의원은 서울교통공사를 대상으로 이 같은 문제를 강하게 지적했다.
작년 서울지하철 정비 노동자 7명의 혈액암 집단 발병이 언론을 통해 처음 공개된 후, 2007년 이후 공사 차량 및 기계 분야에서 총 13명이 혈액암 진단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1년간 연구용역이 추진됐고, 8월 말 최종 보고서가 도출됐다.

서울교통공사 혈액암 예방 추진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근로자들의 혈액암 예방을 위해 노후 장비 전면 교체, 발암물질 유발 공정 변경, 디젤 기관차 배터리식으로 교체 등 대대적인 환경 개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예산이 208억 원으로 추산됐다.
그러나 서울교통공사의 부채비율이 94%에 달하고, 총 부채가 7조 7,247억 원으로 증가하면서 200억 원 이상의 예산 확보는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곽 의원은 공사가 서울시의 대중교통 정책 부담 및 현실적 운임 책정 권한이 없어 재정난을 겪고 있다고 강조하며, 대대적인 지원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특히 서울교통공사는 6월 용역이 완료됐음에도 불구하고, 8월 20일에야 혈액암 예방을 위한 작업환경 개선 예산지원을 서울시에 건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작년부터 올해 6월까지 추진된 혈액암 예방 실적은 실태조사용 용역과 노후 부품 세척기 2대 교체뿐으로, 현장 작업자들은 여전히 위험한 환경에 노출돼 있다.
서울교통공사 백호 사장은 곽 의원의 질의에 대해 "아직 예산을 확보하지 못했으며 서울시와 긴밀하게 논의 중"이라고 답변했다.
곽 의원은 "재정 악화가 지속돼 직원들을 위험한 환경에 방치하는 것은 서울 지하철 인프라와 시민 안전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며, 즉각적인 재정 지원과 환경 개선을 위한 논의를 촉구했다.
이에 백호 사장은 "상황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을 최우선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한국행정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